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메리카 편지] 시간의 형태

며칠 전에 프린스턴대학을 22년 만에 다녀왔다. 나의 천체물리 박사학위를 지도했던 교수님의 환갑 기념으로 열린 학회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천문학계를 떠나 고고학을 공부하게 된 후로 오랜만에 다시 보는 사람들로 가득했다. 그 건물에 발을 들인 순간 5년 동안 박사과정을 밟으며 밤낮으로 열심히 일했던 그때 기억이 물 밀듯 쳐들어왔다. 마르셀 프루스트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홍차에 적신 마들렌을 먹는 순간 주인공의 어릴 적 기억이 환기되는 유명한 에피소드가 생각났다. 무언가를 기억한다는 것은 하드 드라이브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꺼내 보고 그대로 되돌려 놓는 것 같은 수동적인 현상이 아니다. 기억의 행위 자체가 능동적인 ‘다시-체험’이고 그럴 때마다 우리는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 낸다.   현상학적 또는 체험적 관점에서 볼 때 시간 자체가 다양한 형태를 지닌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직접 체험을 하는 주체에게 현재라는 시간은 과거가 벌써 담겨 있고 미래 또한 얽혀 있는 복잡한 모양으로 나타난다. 이는 역사철학자들이 즐겨 언급하는 발터 벤야민의 ‘지금 시간(Jetztzeit)’이라는 개념과도 상통한다. 중요한 과거의 경험이 이미 포함되고 미래의 방향이 함축된, ‘혁명적 포텐셜’을 지닌 시간이다.   천문학자의 가장 큰 숙제는 바로 시간 자체의 형태를 연구하는 것이다. 모든 천체의 관측은 빛으로 하기 때문에 관측 당시에 도착한 광자는 항상 과거의 현상을 우리 현재의 문턱으로 배달한다. 그 관측 대상이 멀면 멀수록 더 먼 과거로 시간 여행을 한다. 고고학자 또한 마찬가지다. 발굴 작업이라는 것이 땅을 파고 시간의 레벨을 층층이 벗겨나가면서 과거의 정보를 확보한다. 천문학자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 우주의 이야기를 발견하고, 고고학자는 인간의 이야기를 발견한다. 인간과 우주는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김승중 /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아메리카 편지 시간 형태 시간 여행 시간 자체 천체물리 박사학위

2023-06-16

[밀레니얼 트렌드] 혼놀로그

‘혼놀로그’는 ‘혼자 노는 브이로그’의 줄임말로 혼자 보내는 일상을 브이로그 영상으로 촬영하는 것을 뜻한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일상에 익숙해진 MZ세대는 이제 혼밥·혼술을 넘어 혼커(혼자 커피), 혼공(혼자 공부), 혼운(혼자 운동), 혼코노(혼자 코인 노래방), 혼캉스(혼자 호캉스), 혼영(혼자 영화), 혼생(혼자 보내는 생일), 혼쇼(혼자 쇼핑) 등 ‘혼놀 문화’를 즐기며 그 모습을 영상으로 기록해 SNS에 올리고 있다.   물론 MZ세대가 ‘혼놀로그’에 빠진 이유는 진짜 외로워서가 아니다. 오히려 ‘혼자서도 잘 노는 사람=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사람=갓생러’임을 표현하기 위해서다.     ‘갓생’이란 신(갓·God)과 인생(人生)이 합쳐진 신조어로 손에 닿지 않는 화려한 삶을 쫓기보다 성실함과 꾸준함으로 작은 일에 열심히 도전하면서 소소한 성공과 행복을 맛보는 삶을 뜻한다.   즉, 살다보면 혼자 있을 때도 생기지만 “이 시간조차 허투루 보내지 말고 의미 있고 즐거운 일을 추구하며 인생을 기록하자”는 게 ‘혼놀로그’의 핵심이다.     혼자 보내는 시간을 이용해 자유로움을 만끽하거나 집중력을 높여 원하는 바를 충분히 얻고, 그 시간 자체를 영상 콘텐트로 만들어 SNS에 올리고, 온라인 친구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좋아요” 같은 응원도 받고. 효과는 일석삼조다.   혼자 있으면서도 결코 혼자가 아니라고 느끼는 것은 바람직한 자세다.     하지만 MZ세대가 말하는 ‘혼놀로그를 즐기는 이유’ 중 “혼자 있을 때도 누군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고 느껴야 마음이 안정되고 덜 심심하다”는 대목에선 씁쓸한 생각도 든다. 서정민 / 중앙SUNDAY 문화선임기자밀레니얼 트렌드 브이로그 영상 시간 자체 온라인 친구들

2022-07-1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